부동산 투자방식 중에서 탑다운 방식이 있습니다. 국가 전체의 정책을 보고 그 아래 세부지역 부동산시장을 분석하는 것이죠. 한국의 철도노선계획을 보면 지역발전과 그에 따른 인구유입 나아가서 부동산 투자 지역도 찾을 수 있습니다. 제4차 국가철도망 전국 노선도를 보며 지역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철도노선계획 2021년~2030년
최신 국가철도망 노선도입니다. 범례를 보시면 기본적으로 색깔에 따라 기존 철도망과 현재 시공 혹은 설계 중인 철도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은색 : 이미 깔려있는 기존 철도 노선
- 빨간색 : 현재 시공 중인 철도 노선
- 파란색 : 설계 중인 철도 노선
- 초록색 : 고속철도 (KTX, SRT 등)
기존에 이미 설치된 철도 노선은 제외하고, 현재 시공 중인 노선과 설계 중인 철도 노선을 지역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수도권 / 강원도
수도권에서는 '인천 월곶-시흥시청-광명-판교'를 잇는 복선전철이 시공 중입니다. 그 아래로 수원, 동탄까지 새로 연결되고 있는 철도가 많군요. 인덕원역에서 동탄까지 추가로 철도가 생기고 있습니다. 또 수도권에서 오른쪽으로는 여주와 서원주를 이어주는 여주/원주 복선전철이 23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고요. 이 복선전철이 생기면, 수도권에서 원주/평창을 거쳐서 강릉까지 한 번에 갈 수 있겠습니다.
강원도를 볼까요. 우선, 춘천에서 속초까지 단선전철이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2027년 완공 목표라서 아지 4년 정도 더 기다려야 하겠군요. 하지만 완공만 된다면 서울에서 춘천, 속초까지 한 번에 이동가능합니다. 동해선 또한 추가 되어서 속초에서 양양을 지나, 강릉까지 세로로 연결 중입니다.
2. 충청도 / 경상북도
충청도 철도노선계획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평택입니다. 조치원, 오송에서 천안평택 까지는 현재 노선 건설 중이며, 평택에서 광명, 인덕원까지 현재 추가전철 설계 중입니다. 수도권까지 촘촘히 연결되었던 철도망이 그 아래 평택/오송 2 복선을 따라 충청도 까지 내려오는 모습입니다. 물론 충청남도 서쪽해안 쪽도 군산에서 아산산단까지 장항선 복선전철도 추가 진행 중입니다.
충청북도의 경우 조치원,오송,청주공항을 따라 오른쪽 충주, 제천까지 충북선 고속화 사업이 진행 중입니다. 우리나라의 따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곳이군요.
경상북도는 포항에서 위쪽 영덕을 지나 울진, 삼척까지 동해안 포항/삼척 단선전철이 진행 중입니다. 사실 동해안은 대한민국 지형에서 척추뼈 같은 모습인데, 국가교통망이 그리 좋진 않았습니다. 마의 구간이죠. 만약 이 구간이 완공이 된다면, 부산/울산/경상도 분들이 쉽게 주말에 강원도 여행을 갈 수도 있겠습니다.
확실히 강원도 쪽에 왜 몇년간 부동산 아파트가격이 많이 올랐는지 알겠군요.
3. 전라도 / 부산,울산,경남
천안 아산을 중심으로 왼쪽 오른쪽 양갈래 KTX 고속철도 노선이 녹색으로 보입니다.
전라도 쪽을 먼저 살펴보면, 가장 먼저 파란색으로 설계 중인 철도 노선이 보입니다. 익산에서 시작해서 북전주, 남원, 구례, 순천을 거쳐 여수까지 내려옵니다. 복선으로 이 노선을 고속화하려고 하나 보네요.
경상도의 경우 지금 시공 중인 노선이 가운데 빨간색으로 있습니다. 김천, 구미에서 아래로 내려오면 합천이 있고, 다시더 내려오면 진주, 통영 거제까지 내려옵니다. 특히, 경상남도 진주와 전라남도 광양 사이에는 경전선이 전철화되고 있는 중이네요.
부산권을 살펴보겠습니다. 부산은 사상구와 김해공항을 거쳐, 창원, 마산까지 복선전철이 있고, 특히 노포에서 울산을 거쳐 다시 양산으로 내려와 진영까지 연결되는 광역철도가 설계 중에 있습니다. 보통 일직선으로 되어있는 철도 노선과는 다르게 울산을 거점으로 역 U자 모양으로 한 바퀴 돌아 나오게 되어있네요.
이렇게 전반적으로 국가 철도노선계획을 훑어봤습니다. 여러분은 어느 도시에 사람이 많이 모일 것으로 보이시나요? 지방 부동산 투자 시에 가장 중요한 것은, 교통과 인구밀도입니다. 광역 철도교통망 정도는 한번 알아놓는 것이 부동산 투자의 첫걸음 이겠지요.
제4차 국가철도망 전국 노선도 다운로드 필요하신 분은 아래 png 파일 첨부해 두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경매 공매,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취득세 (기본세율 중과세율) 2023년 1월 17일 현재 기준 (0) | 2023.01.17 |
---|---|
LTV DTI DSR 뜻 알고 부동산 투자 합시다 (0) | 2023.01.14 |
경매 선순위전세권 낙찰자 인수되는 경우 주의점 (0) | 2023.01.10 |
경매 낙찰 후 절차, 셀프 등기 촉탁 방법 및 주의점 (1) | 2022.11.06 |
경매입찰 자격, 미성년자 경매 입찰 가능 할까요?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