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가기로 정하고 나면, 내가 살기 좋은 동네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아야 합니다. 부동산 중개사무소를 찾아가서 공인중개사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하고, 인터넷 커뮤니티에 물어보기도 하죠. 객관적으로 좋은 동네 찾는 방법은 통계지리정보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이사 가고 싶은 동네 찾는 법
내가 살고 싶은 동네를 찾을 때 보통 역세권 주변으로 많이 찾습니다. 직주근접 때문인데요, 직주근접은 직장과 주거가 가까운 것을 의미합니다. 역세권 주변이어야 출퇴근 이동시간이 줄어드니까 훨씬 직주근접성이 높겠죠. 그래서 부동산에서 직주근접은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외에도, 이사 갈 동네 고를 때 아래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초품아 : 초품아 뜻은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라는 의미입니다
- 숲세권 : 자연 친화적으로 주변에 공원과 녹지가 많은 곳이라는 뜻입니다
- 스세권 : 스세권은 스타벅스가 도보로 있는 곳
- 맥세권 : 맥도널드가 도보로 이동 가능 한 곳에 있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 슬세권 : 그렇다면, 슬세권은 무슨 의미일까요. 바로, 슬리퍼 같은 가벼운 차림으로 편의점, 커피숍, 마트 등 각종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을 말합니다.
이렇게 각종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말하는 용어를 확인을 하더라도, 수천만 원의 보증금을 걸고 앞으로 내가 몇 년 동안 살 곳을 쉽게 결정할 수는 없겠죠. 특히, 요즘처럼 코로나 오미크론 때문에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늘어난 경우에는 특히나 거주에서 오는 삶의 질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객관적인 데이터를 보고, 이사 갈 곳을 고르는 게 더 현명합니다. 제가 공인중개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느낀 건데, 사실 우리나라의 법과 행정시스템이 평균적으로 봤을 때 굉장히 체계적으로 잘 되어 있습니다. 사회현상을 따라가기에는 아직 좀 느린 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타 국가와 비교해 봤을 때 오히려 행정 속도가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중 통계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통계지리 서비스 이용 방법
통계 지리 서비스 사이트는 위와 같습니다. 우선 클릭해서 방문하시면 위에 메뉴가 보이는데요. 거기서 '활용 서비스'를 눌러 주시고, '살고 싶은 우리 동네' 메뉴를 클릭해 주세요. 왼쪽에 '간편 동네 찾기'를 누르시면, 내 성별과 연령대 관심 동네와 거주지, 그리고 희망 거주유형이 아파트인지 단독주택인지 다세대,연립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관심동네 부분은 아래와 같이 심플하게 고를 수 있네요.
- 북적북적 동네 (상관이 발달 한 곳이 아닐까요)
- 열공 동네 (아마도 도서관 등이 근처에 있는 곳인 듯합니다)
- 여유만만 동네
- 튼튼 동네 (여기는 근처에 체육시설이 있는 곳이겠죠)
- 안심 깨끗 동네 (여기는 범죄나 혐오시설이 없는 곳 같습니다)
이름만 봐도 대충 다 알겠는데, 여유만만 동네는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여유라고 하니, 집 값이 높은 곳일까요. 여기서 본인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을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여유만만 동네를 선택했는데, 다음 메뉴에 들어가 보니 어떤 시설과 어떤 이웃, 그리고 어떤 지역현황을 선호하는지 6가지를 고를 수 있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자가점유 비율이 높은 지역이네요. 역시 여유만만의 여유는 금전적인 여유를 의미하는 게 맞나 봅니다. (참고로 열공 동네를 눌러봤더니 주변에 학원이 많은 곳을 고르게 되어 있네요.)
이 중 6가지를 고르고 나면, 원하는 지역에서 조건에 맞게 총 10개 지역을 추천해 줍니다. 전국에 비해서 이 지역의 안전도가 높은지, 주택의 자가 비율이 높은지 이런 부분도 비교해서 볼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시는 분이라면 대중교통 이용률이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 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도시화 분석지도, 행정통계 시각화 자료 등을 확인해 보시면, 지역별 신혼부부의 숫자 통계 혹은 주택소유 통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자리가 많고 신혼부부가 유입된다는 것은 그 지역의 부동산 집값이 상승할 여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사이트의 통계는 부동산 투자를 하는 데 정말 유용한 자료입니다. 즐겨찾기 해두시거나 공유를 해두고 필요할 때 꼭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매 공매,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경매 기초 (권리분석이란 & 물권 채권) (0) | 2022.04.18 |
---|---|
[부동산 경매] 경매의 장점과 단점 (0) | 2022.03.24 |
자동차 중고차 경매 공매 방법 및 사이트 (0) | 2022.03.10 |
공매 낙찰 후 절차 (대출 및 명도) (1) | 2022.02.10 |
온비드 공매 낙찰 후기 (4) 세입자 명도 성공 (1) | 2022.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