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 시험

(D-304) 수요량 과 수요, 부동산중개 1차 독학 중

by 산토끼네 2021. 12. 29.

부동산 공인중개사 시험에는 수요와 별도로 '수요량'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문과생인 내 입장에서는 수요량과 수요가 각각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기 어려워서, 정리 차원에서 시험 준비 내용을 기록해 보려고 한다. (부디 같이 수험 공부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요'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

자 길게 설명할 필요 없이 제일 간단하게 말해보자면, '수요량'의 변화는 가격 변화에 따라서 수요곡선 상 안에서 수요 지점이 어떻게 왔다 갔다 하느냐 이다. 반면에 '수요'의 변화는 가격 이외의 어떤 요인(예를 들면 소득이나 인구 등)이 영향을 줘서 수요곡선 자체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가격과-수요-그래프
수요곡선

 

위 그림에서 봤을 때 어느 것이 '수요량'의 변화일까? 그렇다 위의 그림이 '수요량'의 변화이다. 가격에만 영향을 받는다. 그에 반해 아래 그림은 '수요'의 변화인데, 가격에 영향을 받는 게 아니라, 예를 들면 부산 대구 같은 대도시에서 사람들이 서울로 빠져나가면 그 동네 인구는 줄게 되고 집 가격과는 전혀 상관없이 수요 자체가 줄게 된다 그러면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서울에는 인구가 더 들어왔기 때문에 기존의 집 가격은 그대로이지만, 집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서 수요곡선 자체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집값은 그대로인데, 그 도시 내에 평균소득이 높아져서 사람들이 돈을 많이 벌게 되면 곡선 자체가 오른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총정리를 해 보면, 수요량의 변화는 단순히 집값이 오르냐 내리냐의 문제이고, 수요의 변화는 집값 이외의 요인(인구, 소득, 집값 인상 기대감)이 어떻게 영향을 끼치느냐 이다. 

 

 

 

 

 

 

 

자 그럼 이 두 가지가 이제 구분이 된다면 아래 내용을 읽어보고 왜 맞는 내용인지 따져보도록 하자. 부동산 공인중개사 시험에는 주로 이렇게 참/거짓을 빠르게 구분해 내야 하는 지문이 많이 나오기에 연습이 필요하다. 

 

  • 아파트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수요곡선 자체를 이동시킨다 → 아직 가격은 변동 없음, 기대감 일뿐 
  • 단독주택 가격의 하락은 대체관계에 있는 아파트의 수요곡선 자체를 이동시킨다 → 아파트 자체 가격은 변동 없음
  • 아파트의 임대료 변화는 아파트 수요곡선 상의 변화를 초래한다 → 아파트 그 자체의 가격 변동임
  • 담보대출 금리가 하락하면 수요량의 변화로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한다 → 아파트 자체 가격은 변동 없음

 

 

 

 

여기까지 수요와 수요량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시간을 조금 들여 꼼꼼하게 읽어봐야 한다. 하지만 집중만 한다면 아예 이해 못 할 정도의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열심히 해서 1년 안에 동차 합격의 꿈을 이뤄보자. 

댓글